
라오스가 오랜 기간 겪어온 ‘불발탄’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한민국의 지원 성과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K+HOPE’ 캠페인이 현지에서 펼쳐졌다. 이 캠페인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주도하며, 불발탄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과 문화적 교류를 통해 ‘K-브랜드’를 라오스에 새기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라오스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불발탄이 남아있는 국가로, 지난 베트남 전쟁 당시 투하된 폭탄 중 30%에 달하는 8천만 개가 폭발하지 않은 채 땅속에 묻혀 있다. 이 불발탄은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라오스 주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며 경제사회 발전에 심각한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코이카는 2015년부터 12년간 세 차례에 걸쳐 불발탄 제거 지원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며 라오스의 평화와 발전에 기여해왔다.
‘K+HOPE’ 캠페인은 이러한 코이카의 그간의 노력과 성과를 국내외에 알리고, 특히 불발탄 피해자들을 위한 보건·재활 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캠페인은 코이카와 긴밀히 협력해 온 국제 비영리단체(NGO) ‘COPE’와 함께 진행되었으며, 실제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담아 메시지를 확산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COPE는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센터를 운영하며 불발탄 피해의 심각성을 알리는 전시와 함께, 피해자들에게 의수족 제공, 물리치료 등 실질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COPE 센터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코이카와 COPE의 협력 성과를 공유하고, COPE 전시관 투어와 체험형 홍보 부스를 운영했으며, 퀴즈 이벤트와 기념품 증정, 포토존 운영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참가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냈다. 특히 코이카가 불발탄 제거 2차 사업의 일환으로 COPE와 협력하여 약 19개월간 진행한 모바일 클리닉을 통한 의료지원 성과는 큰 주목을 받았다. 이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들의 99.3%가 신체 장애를 확인하고 의수족 등 보조기구를 지원받는 등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했다.
이러한 성공적인 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코이카와 COPE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라오스 북부 지역의 불발탄 피해자와 장애인을 대상으로 모바일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규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불발탄 제거, 피해자 생계 및 자립 지원을 넘어 보건·재활까지 아우르는 포괄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오성수 코이카 라오스 사무소장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COPE 센터의 안내 자료에 한국어가 추가된 점을 강조하며, 이는 라오스를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고 한-라오스 협력 관계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캠페인에는 라오스 현지 주민, 불발탄 피해자, 외국인 관광객 등 200여 명이 참여했으며, 라오스 정부 및 유엔개발계획(UNDP)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도 자리를 빛냈다.
정영수 주라오스 대한민국 대사는 라오스의 심각한 불발탄 피해 상황을 언급하며, 이번 캠페인이 한국과 라오스 간의 긴밀한 협력을 강화하고 피해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K+HOPE’ 캠페인은 단순한 지원을 넘어, 라오스의 아픈 역사를 치유하고 미래를 위한 희망을 심는 ‘K-브랜드’ 활동으로서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