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서울 광진구의 한 유치원에서 서울시 특별점검반이 긴급 위생점검을 점검하고 있다. 최근 경기 안산시의 한 유치원에서 장출혈성대자균감염증 집단발병이 발생하는 등 아동 급식시설에서 식중독 사고 위험이 높아지면서 서울시는 시내 유치원·어린이집 급식소 2704곳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에 나섰다. 2020.7.8/뉴스1
어린이집 내 식중독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9월 13일부터 31일까지 전국 3800여 곳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위생관리 실태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급식 환경의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조치다.
식약처는 올해 상반기에 이미 전국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6536곳에 대한 점검을 마쳤으며, 이번 추가 점검을 통해 총 1만 300여 곳의 어린이집에 대한 전수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상반기 점검 결과,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11개 업체가 적발되었으며, 이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급식 시설의 위생 관리가 여전히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이번 집중 점검에서는 특히 ▲소비기한이 경과한 제품의 사용 및 보관 여부 ▲보존식의 적절한 보관 상태 ▲식품 및 조리실 등 급식 시설 전반의 위생 관리 상태를 면밀히 살필 예정이다. 또한, 현장에서 조리된 식품과 급식 조리 도구 등에 대해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수거하여 검사하는 등 보다 과학적인 방식으로 안전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을 위해 어린이집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손 씻기 방법과 환자 발생 시 구토물 처리 방법 등을 교육하고 적극 홍보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이번 집중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어린이들에게 안전한 급식이 제공될 수 있도록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 대한 위생 점검과 식중독 예방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꾸준히 이어진다면, 어린이집 급식 환경의 위생 수준을 한 단계 높여 식중독 발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