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률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25%)가 유지될 경우 수출 급감과 원화 가치 급락 등 복합 충격이 우려되는 반면, 일본과 유사한 수준(15%)에서 타결되면 경제 반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2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한국 경제가 올해 0.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 7월 국제통화기금(IMF)이 예측했던 수치보다 0.1%p 상향된 것이다. 더욱이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돼, 우리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전망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각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이 향상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IMF는 지난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상향된 수치이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긍정적인 전망은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 등을 통한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경우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성장률이 0.1%p씩 상향 조정되어 각각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0.1%p 높여 4.2%로 예측되었으며, 내년에는 기존과 동일한 4.0%로 전망되었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 및 재정 확장 정책이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면서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지난 7월 전망 수준인 4.8%와 4.2%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을 포함한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지난 전망보다 0.1%p 높여 수정되었으며, 내년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1.6%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가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물가 안정화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다만,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화하며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함께 제기되었다. 이러한 전망들은 한국 경제가 글로벌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점진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