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는 가운데, 국립극장에서 개최되는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지평을 넓히는 특별한 행사로 주목받고 있다. 오는 9월 28일까지 계속되는 이 축제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을 조망하며, 올해 첫 회를 맞아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이라는 주제 아래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을 선보인다.
이번 축제는 국립창극단을 주축으로 기획되었으며, 총 9개 작품, 23회의 공연으로 구성되어 한 달간 관객들에게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극장 제작 공연인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랐다. 이 작품은 기존 ‘심청가’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심청을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하여 신선한 충격을 선사했다. 특히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의 연출은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각을 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축제의 일환으로 9월 13일에는 해외 초청작 <죽림애전기>와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이 연이어 공연되었다. 특히 <죽림애전기>는 중국 월극을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가면을 쓴 배우들의 노래, 춤, 연기, 그리고 무술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깊은 인상을 남겼다.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호평받은 이 작품은 국내에 처음 소개되어 관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죽림애전기>가 가정과 국가라는 두 가지 측면을 성공적으로 그려냈으며, 역사 문화적 원형에 현대적인 기술이 더해져 더욱 풍성한 경험을 선사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보여준 <세계 음악극 축제>가 한국 문화 수출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훌륭한 행사라고 덧붙였다.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은 조선 말, 자신의 이름으로 세상에 맞서 살아내고자 했던 정수정이라는 여성의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풀어낸 작품이다.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시대에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에도 불구하고 당당하게 삶을 개척해나가는 정수정의 이야기는 많은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이 작품은 여성 영웅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한 인간이 자신의 이름을 지키며 꿋꿋하게 살아가는 모습에 초점을 맞췄으며, 배우들이 작창과 창작에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으로 제작되어 의미를 더했다. 공연 관계자는 이번 축제가 국립창극단뿐만 아니라 민간 단체도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의미 있는 공연이 될 수 있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을 시작으로 향후 전 세계의 다양한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국립극장 프로그램 외에도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 여러 기관과의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다채로운 문화 교류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축제 기간 동안 관람객들을 위해 ‘부루마블’ 이벤트 등 즐길 거리를 제공하며, 예매 관객들에게는 관람 횟수에 따라 다양한 혜택과 한정판 축제 굿즈를 제공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세계 음악극 축제>가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음악극 축제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