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광범위한 정보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며 국민 생활과 공공기관 업무에 큰 불편이 야기되고 있다. 13일 6시 기준으로 전체 260개 시스템, 즉 36.7%만이 복구되었으며, 특히 1등급 시스템 30개(75%)와 2등급 시스템 35개(51.5%)가 복구된 상황이다. 이는 국가 정보 시스템의 핵심 기반이 얼마나 취약한지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번 화재로 인해 국민들의 온라인 쇼핑 경험과 공공기관의 물품 구매 방식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1등급 시스템인 우편정보 ePOST 쇼핑(우체국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이 복구되면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물품을 국민과 공공기관이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길이 다시 열렸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로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의 예탁금 납부, 이용자의 본인부담금 납부 등의 서비스가 재개되면서 그동안 중단되었던 생활 밀착형 서비스의 정상화에 한 발 다가섰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1차 회의를 개최하고 이러한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 및 복구 방안, 그리고 관련 민원 처리 실태를 면밀히 점검했다. 중대본은 현재 대국민 주요 서비스와 업무 등급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최단기간 내 서비스 재개를 목표로 복구 방식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특히 화재와 분진 피해가 심각했던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작업을 우선 진행한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화재 및 분진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하게 시스템을 복구하는 한편, 7-1 전산실과 관련된 시스템에 대해서는 백업 또는 기존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특성에 맞는 조속한 복구 방안을 수립하고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에 더해 제조사 복구 인원까지 투입하며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발생한 불편 민원 처리 상황도 점검 결과, 화재 다음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에 달했던 콜센터 상담 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일일 300건 내외로 줄어든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상담 내용은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안내, 민원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이었으며,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과 서비스를 적극 마련하여 국민과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시스템별 상황에 맞는 세부 복구 방안을 수립·추진하여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연일 밤낮으로 복구에 매달리고 있는 정부, 공공기관, 그리고 민간업체 직원들이 신체적, 정신적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근무 환경을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밝혔다. 이번 화재로 인한 정보 시스템 복구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향후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