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발생한 행정정보시스템의 장애로 국민들이 겪는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긴급 재난 신고 및 국가 기록물 접근 등 필수적인 행정서비스 이용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관계 당국은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사태는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며, 근본적인 재설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회의를 열어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신속한 정상화를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중대본은 이날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을 복구하여 서비스를 재개했다고 밝혔다. 이 중에는 긴급 상황 발생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의 주요 기록물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이 포함되어 있어, 연휴를 앞둔 국민들의 안전과 정보 접근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추석 연휴를 앞두고 행정전산망 장애로 불편과 걱정을 끼친 점에 대해 송구하다는 뜻을 밝히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복구 작업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음을 강조했다. 그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로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화재로 인해 국민신문고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발생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되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가 복원되어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도 재개되었다. 행정안전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안내하고 있으며, 범정부 차원에서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수수료 감면 지원 현황 및 추가 지원 방안도 점검하고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 방안을 논의 중이다.
정부는 복구 속도 향상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예비비를 투입하여 복구 작업을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사항은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을 전수 점검하여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