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앞둔 시점에서 119안전신고와 같은 필수적인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으며, 국가기록포털 이용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이번 사태를 조속히 수습하고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2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회의를 열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집중 점검하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그 결과, 이날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의 시스템이 복구되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긴 연휴를 앞두고 국민들의 안전과 재난 관리에 필수적인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가 복구되었으며, 국가의 중요한 기록물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도 다시 가동을 시작했다.
이번 복구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고 예비비까지 동원하는 등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가 행정전산망 장애로 국민 여러분께 불편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 송구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우선 순위에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인력들도 복구에 참여하여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시스템 복구에만 그치지 않았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불편을 겪었던 민원인들을 위해 과거에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도 재개했다. 행안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국민들에게 안내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사항은 보완하여 행정 공백으로 인한 불편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행정력을 총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통해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더 나아가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멈추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하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정보관리체계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국민들이 안심하고 행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