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생명 유지와 생태계 균형에 필수적인 곤충이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열매 맺기를 도우며, 먹이사슬의 핵심 고리로서 생태계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도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곤충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급격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생존 위기에 처하는 사례가 속출하며, 이는 곧 지구 생태계 전반의 위기를 예고하는 징후로 해석된다. 9월 7일, 곤충의 날을 맞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개최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은 바로 이러한 곤충이 처한 현실과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고자 마련되었다.
이번 기획전은 약 4억 년 전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곤충의 역사를 소개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해 온 곤충의 놀라운 생존 능력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후변화 앞에서는 곤충의 뛰어난 적응력마저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전시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달라지는 곤충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곤충의 변화를 인류를 위한 경고로 해석한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곤충의 서식지 변화를 통해 명확하게 드러난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쪽으로 서식지를 옮기고 있다.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서식지를 오히려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적응이 모든 곤충에게 가능한 것은 아니다.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와 같은 종은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를 겪고 있으며,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이는 한국 고유종의 경우,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에서도 완전히 사라진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다. 붉은점모시나비와 같이 과거에는 흔했던 곤충도 먹이 식물이 줄어들면서 사라질 위기에 놓이는 등, 곤충의 멸종 위기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곤충 생태계의 위기는 결국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가 원인이다.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류는 ‘탄소중립’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여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국립과천과학관의 이번 전시는 곤충의 변화를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하며, 관람객들에게 지구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촉구한다. 전시는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후 행동 방안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이러한 실천들이 모여 지구의 온도를 낮추고 곤충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복원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이어지며, 특히 미래 세대인 초등학생을 포함한 가정이 지구 환경의 소중함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배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