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9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가 개최됐다. 초록과 노랑 천막 아래, 상담장을 향해 서두르는 공공기관 관계자,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제품을 살피는 시민, 그리고 자신이 만든 물건 앞에 서서 또렷하게 설명하는 생산자들의 모습이 분주하게 오갔다. 이러한 행사는 단순히 장애인 생산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자리를 넘어, 우리 사회가 중증장애인의 직업 재활과 경제적 자립을 어떻게 ‘일상’으로 받아들이고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을 보호나 시혜의 대상으로 여기는 경향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인식은 중증장애인의 노동에 대한 정당한 가치를 저평가하고, 이들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경제적 자립을 이루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박람회장에서 진행된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등의 체험 활동이 진행되었다. 관람객들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제품 하나가 완성되기까지 필요한 노동의 가치와 세심함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실수하는 참가자에게 옆에서 손을 잡아주며 함께 완성해나가는 과정은 단순한 가르침이 아닌, 동료로서의 지지와 연대에 가까웠다. 완성된 쇼핑백에 새겨진 ‘일상으로’라는 문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특별한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당연하게 소비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32세의 금천구 박O광 씨는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장애인 생산품을 특별히 사주는 물건으로 보기보다, 정직하게 만든 생활 속 제품으로 받아들여졌으면 합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낯섦’에서 ‘일상’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인식 전환은 제품의 ‘맛·품질·가격’을 통해 증명되고 있었다. ‘래그랜느 쿠키’, ‘쌤물자리’의 곡물 가공품,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의 제설제와 세정제 등 다양한 제품들은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오래된 고정관념을 단번에 깨뜨렸다. HACCP 인증, 합리적인 가격, 제품의 장점을 차분히 설명하는 직원들의 모습은 제품의 경쟁력이 동정이 아닌 실질적인 가치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품 앞에 선 생산자들의 당당한 표정은 자신이 만든 제품에 대한 자부심과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었다. 관람객들이 구매 여부와 상관없이 제품 설명을 경청하고 고개를 끄덕이는 모습은,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소비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박람회장의 무대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과 다양한 협약식이 진행되었다. 이는 과거의 성과를 기리는 동시에, 미래의 판로를 약속하는 다짐의 자리였다.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 한국교직원공제회, 한국장애인개발원, 전국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협의회 간의 협약 등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 통로에서는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들이 납품 조건, 단가, 납기, A/S 등을 논의하는 현장의 언어가 오갔다. 이러한 무대 위 약속과 통로에서의 대화는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핵심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로, 공공기관이 일정 비율 이상 해당 생산 시설의 제품과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한다. 이는 단순한 상업적 거래를 넘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사회적 신뢰를 구축하는 실질적인 기반이 된다. 박람회에서 선보인 제품들은 온라인몰, 직영점, 협동조합 매장, 지역 행사장에서 지속적으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공공기관의 우선구매는 숫자로 기록되지만, 시민들의 재구매는 신뢰로 축적된다. 중요한 것은 첫 경험을 다음 소비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번 박람회가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바꾸어낸 가장 큰 성과는,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진실을 보여준 데 있다. 이를 통해 사회는 중증장애인의 직업 재활과 자립을 ‘특별한 지원’이 아닌,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당연한 일상’으로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