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예술을 접할 기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시민들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고, 도심 속에서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립극단이 새로운 시도를 선보인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개최한다.
이번 거리예술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특히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접근성을 높였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후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꾸준히 질 높은 작품을 선보여왔다. 올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시민들과의 거리를 좁히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된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은 이러한 국립극단의 노력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이 나오자, 명동 거리를 오가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하나둘 멈추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호기심 어린 표정으로 바라보던 시민들은 점차 공연 속 이야기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무대에는 단 한 명의 연주자만이 있었지만, 아름다운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들은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탈바꿈시키기에 충분했다. 그림을 그리거나 가위로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등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이번 공연은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혁신적인 시도를 보여주었다. 연주자는 공연 도중 관객에게 직접 말을 걸고 배역을 부여하며 참여를 유도했다. 이는 단순한 수동적 관람을 넘어, 관객이 공연의 일부가 되는 경험을 선사하며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을 제공했다. 실제로 아이들과 명동을 찾았다가 우연히 공연을 관람하게 된 한 관객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현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들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기존에 연극 관람을 망설였던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자연스럽게 관객으로 끌어들이며 관객층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다.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으며,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 공연 중단 또는 취소가 될 수 있다.
남은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에 만나볼 수 있는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만약 명동 방문이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 전국 각지에서 제공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할인 혜택 정보, 국·공립 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정보, 전국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 등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문화 혜택 정보를 편리하게 찾아볼 수 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찾는다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겨보는 것은 어떨까. 혹은 자신이 있는 곳에서 열리는 문화 공연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바쁜 현대 사회 속에서 만나는 작은 무대는 분명 일상에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