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우리 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문학이 가진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시키기 위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올해 처음으로 막을 올렸다.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유수의 문학 행사들을 통합하여 개최되는 자리로, 서울을 넘어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동시에 펼쳐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문학 작품을 소비하는 것을 넘어, 문학을 통해 우리 사회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깊은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다.
올해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 아래, 바쁘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특히,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이라는 주제 스테이지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이 공유되어 깊은 울림을 주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들은 글쓰기가 곧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워 주었다. 더불어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다가왔으며, 결국 글을 쓰는 행위가 자기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통로임을 명확히 했다. 이러한 강연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독자로서도 문학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또한, 이번 문학축제는 체험 프로그램들을 통해 문학을 더욱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비로 인해 일부 야외 프로그램이 취소되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오래도록 기억될 즐거운 경험을 선사했다. 이러한 체험들은 문학이 책장 속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 속에서 함께 즐기고 나누는 살아있는 경험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적인 의미와 더불어,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학축제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 국내외 작가를 초청하는 행사, 토크와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다채로운 문화 행사가 연이어 개최된다. 예를 들어,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프로그램은 이번 문학축제를 계기로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풍성한 볼거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처럼 문학축제가 기회가 되어 더 많은 시민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며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