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우리 문학에 대한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지만, 이 관심이 일시적인 현상으로 그치지 않고 우리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문학이 가진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더욱 널리 알리고,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번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에서 진행되는 대표적인 문학 행사들을 하나로 묶는 통합 행사로 마련되었다. 이는 단순히 여러 행사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을 아우르며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함께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학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
특히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통해 문학이 우리 삶의 어려움을 비추고,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희망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는 바쁘게 돌아가는 현실 속에서 잠시 멈춰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의미를 내포한다.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인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이러한 메시지가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강연에서 작가들은 ‘글쓰기에 필요한 태도’에 대한 진솔한 경험담을 공유하며 깊은 울림을 주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은 글쓰기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워주었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며, 글을 쓰는 행위가 결국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소통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내용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글을 읽는 독자에게도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비록 야외 프로그램은 우천으로 인해 일부 취소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즐거운 경험을 선사했다. 직접 만든 주황색 고양이 그림 책갈피는 작은 기념품을 넘어 오래도록 기억될 추억이 되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을 넘어, 전국 각지에서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학을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학축제’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도서관, 서점, 문학관 등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이고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다채로운 문화 행사가 연이어 개최되고 있다.
특히 필자가 거주하는 고양시에서도 ‘2025 고양독서대전’이 10월에 예정되어 있으며,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연계 행사가 진행 중이다.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 또한 이번 축제를 계기로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문학은 단순히 책장 속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능동적으로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즐길 때 비로소 그 진정한 힘을 발휘한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이러한 문학의 확장된 가치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더 많은 사람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