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향유 기회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오랜 시간 해결되지 않은 사회적 과제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지방에서도 양질의 공연과 전시를 접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부담은 이러한 문화 향유를 가로막는 주요 장벽으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문화체육관광부는 9월 25일,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를 시작하며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2차 할인쿠폰은 1차의 성공적인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확대된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전국 단위 할인쿠폰뿐만 아니라,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전국 지역 주민을 위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별도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는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라는 정책 목표를 더욱 명확히 드러내는 대목이다. 해당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총 4개 예매처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각 예매처별로 공연과 전시 유형에 맞춰 2매씩, 총 4매가 제공된다.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전국 할인권보다 더욱 파격적인 할인율을 자랑한다. 공연 관람 시에는 1매당 15,000원, 전시 관람 시에는 1매당 5,000원의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이는 경제적 부담을 크게 완화하여 평소 문화 활동에 제약을 느꼈던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 예술을 더욱 가깝게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1차와는 달리 ‘매주 목요일’에 쿠폰이 재발행되며,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11월 27일까지 배포되는 이번 할인쿠폰은 유효기간이 지나면 자동 소멸되므로, 기간 내 적극적인 활용이 중요하다.
이처럼 새롭게 시행되는 비수도권 전용 할인쿠폰은 지역 문화 활성화라는 정책적 목표와 개인의 문화 향유라는 실질적 혜택을 동시에 충족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리는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은 이러한 할인쿠폰을 활용하기 좋은 대표적인 사례다. 네이버 예약을 통해 5,000원의 비수도권 전용 할인 혜택을 적용받으면,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이처럼 전국 단위의 할인쿠폰과 더불어 비수도권 지역 주민만을 위한 할인 혜택을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 예술 행사의 참여율을 높이고 지방 문화 거점을 활성화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엿보인다. 또한, ‘뱅크시 사진전’과 같이 기획력 있는 전시를 지방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는 점은, 문화 향유의 기회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는 기존의 통념을 바꿔놓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여,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더욱 쉽게 접하고, 이를 통해 지역 문화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