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향유의 기회가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비수도권 지역 시민들의 문화 접근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지역 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지방의 문화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2차 공연·전시 할인권 배포로 이어졌다. 9월 25일(목)부터 시작된 2차 할인권 배포는 1차 사업의 긍정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특히 비수도권 지역을 위한 전용 할인권을 포함하며 그 실효성을 높이고자 했다.
이번 2차 할인권 사업의 핵심적인 배경에는 전국적으로 균등한 문화 향유 기회 제공이라는 정책적 목표가 자리하고 있다. 기존에는 전국 단위 할인권만 제공되었으나, 이번 사업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에 적용 가능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이 추가되었다. 이는 문화 시설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구체적으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공연과 전시 각 유형별로 2매씩 제공된다. 공연 할인은 1매당 15,000원, 전시는 5,000원이다. 이러한 할인 혜택은 기존 전국 할인권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실질적인 티켓 가격 부담을 줄여 더 많은 시민들이 공연과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주요 예매처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11월 27일까지 사용 가능하다. 다만, 1차와는 달리 매주 목요일에 재발행되며, 발급 후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는 유효 기간이 적용된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은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활용한 ‘네이버 예약’을 통해 결제 시 5,000원의 할인 혜택을 적용받아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을 저렴하게 관람하는 사례는 정책의 직접적인 효과를 보여준다.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린 뱅크시 사진전은 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굿즈 판매, 포토존, 체험 공간까지 다채롭게 구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풍선을 든 소녀> 작품의 분쇄 사건과 관련된 이야기는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러한 지방에서의 수준 높은 전시 개최는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이 단순한 비용 절감을 넘어, 지역 내 문화 콘텐츠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시민들의 문화적 경험을 풍요롭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 2차 공연·전시 할인권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혜택의 불균형을 완화하고 비수도권 지역 문화 거점의 활성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예술을 접하고, 문화에 대해 이야기하며, 나아가 지역 문화의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임윤아가 보도한 문체부의 173만 장 할인권 재배포 정책의 기대 효과와 일맥상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