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급식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 사고는 학부모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 중 하나이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의 위생 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사소한 부주의가 대규모 식중독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오는 13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어린이집 3800여 곳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위생 점검에 나선 것은 바로 이러한 식중독 발생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안전한 급식 환경을 보장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라 할 수 있다.
이번 집중 점검은 올해 상반기에 이미 6536곳의 어린이집 집단급식소를 점검한 것에 이어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통해 식약처는 총 1만 300여 곳에 달하는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 대한 전수 점검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전국 어린이집 급식소의 상당수를 아우르는 규모로, 식중독 예방에 대한 식약처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상반기 점검 결과, 식품위생법 위반 업체 11곳이 적발되어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한 바 있으며, 이는 일부 어린이집에서 여전히 위생 관리상의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번 추가 점검은 지난 점검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여 식중독 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이번 점검에서는 소비기한이 경과된 제품의 사용 및 보관 여부, 식중독 발생 시 역학 조사를 위해 필수적인 보존식의 올바른 보관 상태, 그리고 식품 자체와 급식 시설 전반의 위생 관리 상태 등을 면밀히 확인할 예정이다. 또한, 단순 점검에 그치지 않고 실제 조리된 식품과 급식에 사용되는 조리 도구들에 대해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수거하여 정밀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까지 철저히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식중독 예방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올바른 손 씻기 방법과, 만약의 상황 발생 시 노로바이러스 환자의 구토물 처리 및 소독 방법에 대한 교육과 홍보도 병행하여 어린이집 관계자들의 위생 관리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이번 집중 점검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며, 앞으로도 어린이집 집단급식소에 대한 정기적인 위생 점검과 체계적인 식중독 예방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은 어린 생명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급식 환경을 만들고, 나아가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