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언어 속에서 외래어의 사용이 빈번해지면서 우리말 사용의 어려움이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외래어가 자연스럽게 통용되는 현상은 우리말의 본래 의미와 가치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지난 2025년 10월 9일(목), 한글날을 맞아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우리말 가꿈이가 살아요!’라는 주제로 특별한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고 올바른 사용을 장려하는 움직임을 보여주었다.
이번 기념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의 잔디밭 위에 설치된 부스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참가자들은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 우리말을 직접 체험하고 익힐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지도 위에 직접 적어보고 알아보는 활동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평소 자신이 사용하는 사투리가 가진 고유한 아름다움을 재발견하고 타 지역의 방언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 단어들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서 진행된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선택하는 게임을 통해 우리말 실력을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참가자들에게는 격려의 의미로 우리말 가꿈이 전용 물티슈가 제공되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근본적인 뜻을 알아보는 질문을 통해, 단순히 한글을 배우는 것을 넘어 단어 자체의 깊은 의미까지 되새기는 반성의 시간을 가졌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바꾸는 등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던 외래어를 우리말로 변환하는 연습을 통해 공공언어 개선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태그’를 ‘언급’으로, ‘인스타그램’을 ‘누리소통망’으로 대체하는 등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다짐하며 외래어 남용으로 인한 우리말의 소외 현상을 개선하고자 노력했다.
모든 부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장 5개를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증정하는 방식은 참가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처음에는 단순한 기념행사로 생각했던 참가자들은 예상보다 폭넓은 연령대의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유익한 행사임을 인지하고, 행사장 주변을 둘러보는 것 또한 가을날의 정취를 느끼기에 충분했다고 평가했다. <우리말 가꿈이>와 같은 젊은 세대들이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노력을 몸소 실천하는 모습은 작가로서 깊은 위로를 받았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이 확산되기를 기대하게 했다.
이번 행사는 2025년 10월 9일 단 하루에 국한되지 않는다. 현재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국어문화원 및 우리말 가꿈이 기념행사가 10월 한 달간 다채로운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비록 행사 장소 및 날짜는 변동될 수 있으나, 사전 확인을 통해 참여한다면 우리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한글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소중한 경험이 될 것이다. 특정 기념일을 넘어 평상시에도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라며, 내년 한글날을 더욱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