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을 맞이하여 젊은 세대가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올바른 언어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뜻깊은 자리가 마련됐다. 하지만 일상생활 속에서 외래어와 줄임말 사용이 만연하고, 지역별 사투리에 대한 이해 부족 등 우리말을 제대로 알고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우리말 가꿈이가 살아요!’라는 주제로 특별한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우리말 사랑을 실천하는 데 앞장섰다.
이번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올림픽공원 피크닉장 잔디밭에 설치된 부스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 우리말을 쉽고 재미있게 익히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구성된 다채로운 체험 활동이 마련되었다. 참여자들은 운영 부스에서 카탈로그를 받아 총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미션을 수행하며 적극적으로 행사에 참여했다.
행사장에서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채로움을 지도 위에 직접 적어보며 익히는 활동을 통해, 평소 알지 못했던 다양한 사투리의 존재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처럼 엽서를 꾸미는 시간을 가졌다. 이는 우리말의 깊은 뜻을 다시금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즐거움을 선사했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에 참여하며 우리말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고, 문제를 맞히면 휴대용 물티슈를 증정하는 혜택도 제공되었다. ‘한글에서 ‘한’은 무엇을 의미할까?’라는 질문을 던진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근본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은 일상적인 표현을 우리말로 바꾸는 퀴즈를 통해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누리소통망’, ‘언급’과 같은 순우리말로 대체하는 연습을 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우리말 사용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이끌어내며, 일상 속에서 당연하게 사용되던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부르는 것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었다.
이번 ‘우리말 가꿈이’의 한글날 기념행사는 20대 대학생들이 우리말의 소중함을 알리고 올바른 언어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은 생각보다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우리말을 배우고 즐길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올림픽공원이라는 접근성이 좋은 장소에 행사가 마련되어 참여 후 가볍게 공원을 둘러보기에도 좋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러한 젊은 세대의 열정적인 노력 덕분에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긍정적인 문화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0월 한 달간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기념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니, 관심 있는 사람들은 관련 정보를 사전 확인 후 참여하여 우리말의 가치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을 권장한다. 이는 평상시에도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더욱 깊이 뿌리내리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