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 예술을 접할 기회가 부족하다는 점은 꾸준히 지적되어 온 문제점이다. 특히 시간을 내어 극장을 방문하는 것이 어려운 직장인이나, 예상치 못한 순간에 문화적 경험을 원하는 시민들에게는 도심 속 예술 접근성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에 주목하여 국립극단은 시민들이 보다 쉽고 편안하게 예술을 만날 수 있도록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새로운 거리 예술 공연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한낮의 명동극’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펼쳐지는 거리 예술 공연이다.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채로운 공연으로 구성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이는 단순히 공연을 관람하는 것을 넘어,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걸음을 멈추고 도심 한복판에서 예술과 조우하며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얻을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질 높은 작품을 꾸준히 선보여 왔으며, 올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표방 아래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명동人문학’ 강연과 ‘백스테이지 투어’ 등 다채로운 무료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며 관객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은 이러한 취지를 잘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 안내 방송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추었고, 점차 이야기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단 한 명의 연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들은 야외 공간을 작은 극장으로 변화시켰으며, 그림을 그리거나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듯한 과감한 연출은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더욱이 연주자가 공연 중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주는 등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물어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단순한 수동적 관람이 아닌 공연의 일부가 되는 강렬한 예술 경험을 선사했다. 이러한 일상 속 예술 경험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듯한 만족감을 안겨주었다. ‘한낮의 명동극’은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하며,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낮의 명동극’은 약 20~40분의 공연 시간으로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공연 중 폭우 예보 시 공연 중단 또는 취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간을 내어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자연스럽게 예술을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예술이 삶 속에 더욱 깊숙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가 있는 날’에 남은 공연 일정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또한,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의 ‘문화가 있는 날’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할인, 무료 관람 및 연장 개방, 도서 대출 혜택 등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어 개인의 상황에 맞는 문화 활동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명동에서 만나는 작은 무대는 일상 속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