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중동 분쟁, 네팔 시위 등 전 세계적으로 안보 위협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위협은 더 이상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삶과 직결된 현실로 다가왔다. 특히 AI 기술의 고도화는 전쟁과 혼란의 양상을 더욱 정교하고 일상 깊숙이 침투시키고 있다. 2년 전 온라인 해외 봉사 중 경험했던 갑작스러운 경보와 방공호 대피 상황은 안보가 결코 먼 얘기가 아니라는 사실을 절감하게 했다. 이러한 ‘생활의 연속성’을 위협하는 신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은 ‘2025 세계신안보포럼’을 통해 국제사회의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2021년부터 대한민국 외교부가 주최해 온 세계신안보포럼은 변화하는 신안보 위협에 대한 글로벌 협력과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중요한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대한민국은 창설국이자 주최국으로서 의제 설정과 파트너십 구축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국제사회 내 신안보 거버넌스 구축과 규범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포럼은 시대 흐름을 반영하여 2021년 신안보 위협의 다양성과 대응 방향 탐색, 2022년 다차원 사이버 위협과 국제 협력, 2023년 사이버 공간과 신기술 위협 협력 방안, 그리고 작년 AI 및 첨단기술 기반 안보 도전과 혁신 대응에 이어, 올해는 ‘하이브리드 위협의 진화와 국제 안보’를 주제로 심층 토론을 펼쳤다.
지난 9월 8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개최된 제5회 2025 세계신안보포럼에는 정부, 국제기구, 학계, 민간 전문가 20여 명과 온·오프라인 참석자 약 1,000여 명이 참여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과 이광형 KAIST 총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카림 하가그 소장 등 다국적 주요 인사들이 축사를 전하며 국제 안보의 현 흐름과 대한민국 주도적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이번 포럼은 ‘생활의 연속성’을 핵심 의제로 삼아, 전력, 의료, 교육, 통신 등 필수 서비스가 중단 없이 유지되어 국민 일상의 안전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포럼은 크게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허위·오정보와 딥페이크 음성 등이 선거, 재난, 지역 갈등, 금융 사기 등 사회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을 조명하며, 커뮤니티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다층 협력체계 구축, 위기 상황 표준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 마련을 통해 사회적 회복력을 높이는 방안을 강조했다. 또한, 인도주의 원칙을 훼손하지 않는 국제 규범 마련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두 번째 세션은 생성형 AI, 드론, 이중용도 기술 등이 전시와 평시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사이버와 물리적 공격이 동시에 발생하는 ‘그레이존’ 위협 현상을 다뤘다. 책임 있는 AI 운영을 위한 모델 감사 및 내부 점검, 고위험 사용처 제한, 국제법 및 수출 통제 연계 방안이 공유되었으며, 산업계, 학계, 정부 간 협력 모듈의 표준화를 통한 산업 보안 투자 확대의 중요성도 강조되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국가 핵심 인프라가 물리적·사이버 위협에 노출되어 작은 장애가 연쇄적 마비로 확산될 위험성을 지적하며, 핵심 인프라의 회복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평상시 취약점 점검과 훈련, 정보 공유의 일상화가 강조되었으며, 사고 발생 시 격리, 대체 경로 가동, 복구 시간 단축을 통해 국민 일상을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임을 명확히 했다.
세계신안보포럼의 창설국이자 주최국으로서 대한민국은 국내외 신안보 정책과 국제 규범 간 상호 피드백 체계를 강화하며 국제사회 내 신안보 거버넌스의 중심국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신안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대한민국의 실천적 리더십을 보여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 신안보 위협은 민생과 직결되어 있으며, 허위 정보는 여론과 경제 안정성을 흔들고, 사이버 공격은 의료, 교통, 배송 등 필수 서비스 연속성을 위협한다. 핵심 인프라 교란은 물가와 국민 생활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인지전 대응 체계의 표준화, 책임 있는 AI 운용 제도화, 핵심 인프라 복구 시간 단축을 목표로 하는 민관 협력 훈련의 정례화는 시급한 정책 과제다. 정부, 민간, 학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민 일상을 위한 신안보 대응 기반 구축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