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지의 기초 공연예술 생태계가 겪고 있는 자생력 약화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6년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 개편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다. 해당 사업은 무용, 뮤지컬, 연극, 음악, 전통 등 기초 공연예술 5개 분야의 공연단체와 공연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기존 방식으로는 지역 공연계의 실질적인 수요를 충족시키고 공연예술의 전국적 유통을 활성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는 내달 25일까지 ‘2026년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 공모를 진행하며, 특히 공연단체와 공연시설 모두 균형 있게 지원할 수 있도록 사업 구조를 대폭 개편했다. 개편의 핵심은 참여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절차를 간소화하는 데 있다. 이전에는 사전매칭과 사후매칭 유형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던 공모를 통합하여 절차를 단순화했으며, 예산이 남을 경우 추가 공모를 진행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변화는 공연단체와 공연시설이 신청 요건을 충족하면 별도의 심의 과정 없이 서로 선택한 공연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공연단체와 공연시설의 수요를 동시에 반영하여 사업비 지원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는 단체·작품·시설의 자격 요건을 검토하고 예산을 지원하며, 실제 사업 운영은 공연시설과 공연단체가 공연계약을 체결하여 협의·운영하게 된다. 이 과정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역할은 문체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맡는다.
더 나아가, 신청 방식 역시 기존 ‘이(e)나라도움’에서 벗어나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새롭게 개발한 공연예술 전용 기업 간 플랫폼 ‘공연예술유통 파트너(P:art:ner)’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플랫폼은 공연단체와 공연장이 정보를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소규모 공연장이나 인지도가 부족한 신생 예술단체에게도 교섭 기회를 넓혀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제도적 개선을 통해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은 우수한 기초예술 작품을 지역에서 더욱 활발하게 공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공연단체의 자생력을 높이고, 더 많은 지역민이 수준 높은 공연예술을 향유할 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은향 문체부 예술정책관은 “사업 공모 구조를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개편해 더욱 많은 예술인과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이번 개편이 공연예술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