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맞아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특별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 이번 행사는 젊은 세대가 우리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보존하고 확산시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자리였다. 잔디밭 위에 설치된 다채로운 부스들은 단순히 한글날을 기념하는 것을 넘어,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올바른 사용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대학생들의 진심을 담고 있었다.
이번 행사가 개최된 배경에는 우리말이 점차 젊은 세대에게서 멀어지고, 외래어 사용이 빈번해지는 현상에 대한 우려가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우리말 가꿈이>는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우리말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마련되어 참가자들이 우리말과 자연스럽게 친해질 수 있도록 도왔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였다. 참가자들은 지도 위에 자신의 고향 사투리나 알고 있는 사투리를 직접 적으며 지역별 사투리의 다채로움을 경험했다. ‘겉절이’를 ‘재래기’라고 부르는 예시처럼, 평소 무심코 사용했던 단어들이 지역마다 다른 의미나 표현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참가자들이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진행하며 아름다운 우리말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을 통해 우리말 실력을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틀려도 여러 번의 기회를 제공하여 아이들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에서 ‘한’이 ‘크고 으뜸 되는’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을 배우는 등, 단어 자체에 담긴 깊은 의미를 알아가는 귀중한 시간을 가졌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어떻게 표현할지에 대한 고민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사용되는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연습을 했다. ‘누리소통망’, ‘언급’과 같은 우리말 표현을 배우며 외래어 사용의 빈도를 줄이고자 하는 의지를 다졌다.
참가자들은 운영 부스에서 카탈로그를 받아 총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미션을 수행하며 모든 부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게 되었고, 행사장을 둘러싼 올림픽공원의 아름다운 가을 풍경 속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한글날을 기념하는 것을 넘어, 20대 대학생들이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뜨거운 열정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훈민의 숲에 ‘우리말 가꿈이가 살아요!’라는 주제로 마련된 이번 행사를 통해, 한글을 사랑하고 지키려는 젊은 세대가 많다는 사실에 작가로서 큰 위로를 얻었다. 더 나아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 및 우리말 가꿈이 기념행사가 10월 한 달간 다채로운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우리말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되새기고, 평상시에도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하루빨리 정착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