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특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이 운영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가 주관하는 이 프로그램은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진행되며, 단순히 과거의 유산을 둘러보는 것을 넘어 그 안에 담긴 역사적 맥락과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 유산의 가치를 온전히 이해하고 후대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기억의 보존’이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제기된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잊혀질 수 있는 역사의 단면들을 어떻게 선명하게 기록하고 계승할 것인가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은 특히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재구성하며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기존의 조선 왕실 중심 탐방에서 벗어나, 근대 전환기의 혼란 속에서 비극적인 역사를 써내려간 황제와 황후들의 이야기를 조명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시도다. 이는 조선왕조의 마지막과 대한제국의 시작이라는 격동의 시기를 살아낸 인물들의 삶을 통해 역사적 맥락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왕릉과 왕릉을 잇는 길 위에서 역사의 숨결을 따라가는 이번 여정은 참가자들에게 단순한 역사 학습을 넘어, 잊혀진 인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들의 삶을 통해 시대를 통찰하는 귀중한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리 동구릉은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으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부터 현종대왕의 숭릉까지 9기의 능침이 모여 있는 거대한 시간의 숲이다. 이곳에서는 능역의 구조와 제향의 의미, 그리고 능묘에 담긴 정치적 배경이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특히 표석의 기원에 대한 설명은 인상 깊었다. 조선 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표석이 송시열의 상소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후손들이 왕릉을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출발했음을 보여준다. 송시열은 왕릉마다 해당 임금을 알 수 있는 표석을 세워 후대에 전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예의 엄격함과 기억을 보존하는 장치로 기능하게 되었다. 전서체를 사용한 것도 왕릉의 표석이 일반인과 구분되는 제왕의 존재를 상징하도록 하려는 의도였다.
이어서 탐방은 순종황제의 능행길로 이어졌다. 순종은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조선의 마지막 황제로, 일제강점기라는 비극적인 시대에 대한제국의 운명을 짊어져야 했던 인물이다.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은 제사 횟수를 연 2회로 축소하며 제사 제도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전통을 어떻게 계승하고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보여준다. 오늘날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있어 제사가 단절되지 않고 이어져 왔다는 점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동구릉의 가장 높은 자리에 자리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에는 특별한 전통이 깃들어 있다. 태조가 생전 “사후에는 고향의 억새를 가져와 무덤에 심어 달라”는 유훈을 남겼고, 이에 따라 태종이 고향 함흥에서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덮었다. 이 전통은 6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건원릉의 표석에는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적혀 태조의 위상이 황제로 격상되었음을 보여주며, 이는 왕릉 제도와 예제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사료다. 또한, 왕릉은 망자의 영역인 봉분과 산 자와 죽은 자가 제사를 통해 만나는 제향 공간으로 나뉘며, 문인석, 무인석, 석마 등 다양한 석물들은 왕을 사후에도 국가의 영원한 군주로 기억하게 한다.
추존왕의 능 역시 정통 왕릉과는 차이가 존재한다. 생전에 왕이 아니었던 이들이 사후에 추존되면서 그들의 무덤도 ‘능(陵)’이라 불렸지만, 석물의 배치 등에서 구분점을 보였다. 이들의 무덤에는 임금의 업적을 기록한 신도비와 무덤의 주인을 알리는 표석이 세워졌다. 건원릉의 신도비에 ‘역신 정도전’과 ‘공신 봉화백 정도전’이 함께 새겨진 것은 당시의 복잡한 정치 상황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익종(효명세자)과 신정왕후의 수릉처럼 추존왕의 능 중에는 합장릉도 있으며, 신정왕후의 지위가 익종보다 높아 왕비의 배치가 달라지는 등 서열 의식이 왕릉 공간에 반영된 사례도 존재한다.
경릉은 헌종과 두 왕비(효현왕후·효정왕후)가 합장된 삼연릉으로,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유일한 사례다. 왕과 왕비의 위계는 생전과 사후에 달라지며, 망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이 더 높은 자리로 간주된다. 삼연릉에서는 이러한 위계 원칙에 따라 헌종과 두 왕비가 서열대로 배치되었고, 비석에도 ‘부좌(附左)’ 표기가 확인된다. 현재 보이는 비석은 대한제국 시기에 새겨진 것으로,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흔적이 남아 있어 당시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려 했던 사정을 짐작하게 한다.
순종황제의 능행길은 대한제국 황릉과 합장릉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홍릉과 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르며, 석물의 배치, 봉분의 규모, 향어로의 장식 등에서 황제의 권위를 강조했다. 그러나 그 화려함 속에는 주권을 빼앗긴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었다. 홍릉 비각 표석을 둘러싼 대한제국과 일본 간의 갈등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홍릉과 유릉을 돌아보며 마주한 화려한 석물과 질서정연한 배치는 위엄을 풍겼지만, 그 속에는 주권을 잃은 황제와 황후의 쓸쓸한 이야기가 함께 잠들어 있었다. ‘왕릉팔경’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목소리는 이 길이 단순히 과거를 되짚는 시간을 넘어, 미래 세대가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 것인가를 묻는 자리임을 상기시킨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은 그 자체로 아름답지만, 그 뒤에 담긴 역사를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를 되새기는 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