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궁능유적본부가 2025년 하반기에 운영하는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단순한 역사 유적 탐방을 넘어, 한국 역사의 격변기를 되짚어보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과 대한제국 황실 유적을 연계하여, 시대를 넘나드는 역사적 맥락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별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기까지는, 잊혀져서는 안 될 과거의 문제점과 그것을 해결하려는 노력들이 존재했다.
과거 왕릉 관련 기록물의 보존 및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문제 제기가 부족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조선 전기에 표석이 존재하지 않아 후손들이 왕릉을 구분하기 어려웠던 점, 그리고 제사 횟수 및 방식에 대한 혼선이 있었던 점 등이 대표적이다. 우암 송시열은 왕릉의 표석 설치를 주장하며 “지금은 우리가 어느 무덤이 어느 왕의 능인지 알고 있지만, 세월이 흐른 뒤 후손들은 이를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는 당장의 기록 보존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의 역사 이해를 위한 선제적 조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1908년 순종 황제가 「향사리정에 관한 건」을 반포하여 제사 횟수를 축소했던 것은,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전통을 어떻게 계승하고 재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왕릉 제도의 변화와 기록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며, 현재의 「왕릉팔경」 프로그램이 단순한 역사 교육을 넘어선 의미를 지니게 되는 배경이 된다.
이러한 역사적 문제들을 해결하고, 과거의 유산을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전달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들이 「왕릉팔경」 프로그램 곳곳에 녹아 있다.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운영되며, 예약은 8월 21일(9월 예약), 9월 25일(10월 예약), 10월 16일(11월 예약)에 네이버 예약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회당 참가 인원은 25명이며,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약도 가능하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구리 동구릉에서 시작하여 남양주 홍릉과 유릉까지 이어지는 여정을 통해, 조선 왕실 중심이 아닌 대한제국 황실 유적을 집중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동구릉에는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한 9기의 능이 모여 있으며, 건원릉 봉분의 억새는 태조의 유언을 따른 후손들의 숭고한 전통을 상징한다. 또한, 표석에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새겨진 것은 왕릉 제도가 황제국 체제로 변화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은 조선 왕릉의 전통적인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르며, 그 화려함 속에 주권을 잃은 민족의 아픔을 담고 있다. 이러한 유적들을 직접 답사하며 1908년 제사 기록과 같은 역사적 맥락을 따라가는 것은, 단순히 과거를 배우는 것을 넘어 근대 전환기의 역사와 문화를 몸소 체험하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조선왕릉이라는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단순한 과거의 유물로만 남겨두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역사적 의미와 교훈을 현재와 미래로 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참가자 중 김포 청수초등학교 3학년 이윤재 학생이 “역사를 좋아해 아버지와 함께 참여했으며, 앞으로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역사학자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힌 것처럼, 이러한 경험은 미래 세대에게 역사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워줄 것이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의 아름다움은 물론, 그 뒤에 담긴 역사를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이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진정한 오늘의 의미이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