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소멸 위기가 관광 분야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각 지역에서는 고유한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관광 콘텐츠 개발과 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지역 관광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 이 사업은 기존의 중앙 주도적이고 일률적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가 당면한 관광 서비스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관광 혁신을 도모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의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로 영덕문화관광재단이 주관하는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프로그램을 꼽을 수 있다.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외지 관광객을 다시 영덕 블루로드로 유입시키기 위해 기획된 이 프로그램은, 액티비티 체험과 웰니스 체험이라는 두 가지 테마 코스를 중심으로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다채로운 맞춤형 관광 요소를 제공한다. 이는 지역의 특색 있는 매력을 활용하여 관광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하고, 나아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려는 시도이다.
한편, 완주문화재단 역시 스쳐 지나가는 관광지가 아닌,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체류형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의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담은 미식 체험형 프로그램을 준비 중에 있으며, 이는 완주만의 고유한 정서를 관광 콘텐츠로 승화시키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영덕군과 완주군은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지역의 관광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관광 방식을 설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이 사업은 군산항 여객터미널의 성공적인 재탄생을 통해서도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군산문화관광재단은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을 통해 20년 만에 부활한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했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문을 연 이곳은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하여 복고적인 매력을 강화하는 한편,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1층은 옛 여객터미널의 정취를 살렸고,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 영화 상영관, 회의실 등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군산 내항이 내려다보이는 옥상 공간에서는 개관 행사와 함께 다양한 문화 공연이 펼쳐지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장으로 활용되었다.
이처럼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에 선정된 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 등 6개 지역은 각자의 고유한 자원을 바탕으로 지역다움을 드러내는 독창적인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고 확산시키고 있다. 군산항 여객터미널의 사례처럼, 이 사업은 과거의 기억을 간직한 상징적인 공간을 지역 주도로 새롭게 태어나게 함으로써 시민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관광객에게는 항구의 매력을 알리고 지역의 정체성을 되살리는 핵심 공간으로 거듭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 대한민국 곳곳에서 지역 고유의 색깔을 담은 매력적인 공간과 체험으로 변화된 관광 서비스를 직접 누려볼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