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고유한 정체성이 희미해지고 젊은 인구가 타지로 빠져나가는 현상은 전국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화도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그 실효성과 시민들의 체감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단순히 문화 행사를 많이 개최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도시의 정체성을 강화하며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문화도시의 본질적인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도시들이 이 지향점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거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문화도시 박람회>에 37개 문화도시가 참여하며 각 지역의 노력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특히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지역의 침체된 이미지를 극복하고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구체적인 문화도시 사업을 선보였다. 대구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달성문화교실, 청년축제 위터스플래쉬 등 세대별 맞춤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속가능한 문화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고 있다. 유휴 공간을 예술가의 창작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거나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상품 개발과 같은 노력도 문화도시의 중요한 역할로 강조된다.
경북 칠곡군은 인문학에 초점을 맞춰 칠곡로컬팜투어, 우리동네 문화카페, 칠곡인문학마을축제 등 주민들이 함께 어울리며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수 기획했다. 이는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외부인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 개최를 통해 더욱 확장될 예정이다. 이처럼 문화도시는 과거의 아쉬움을 발판 삼아 지역의 잠재력을 발굴하고 시민 참여를 통해 도시의 활력을 되찾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람회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포럼을 통해 밀양, 속초 등 각 지역의 문화도시 추진 사례를 공유하며 공통적으로 인구 유출과 감소, 지역 소멸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했다. 대구 역시 청년 유출이 심각한 지역 중 하나이기에, 이제라도 지역 주민들이 오래 살고 싶어 하는 도시,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도시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문화도시 사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솔루션으로 작용하며, 지역 주민들의 자부심을 높이고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문화도시의 성공적인 미래는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에서 비롯된다.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을 포함한 37개 문화도시가 앞으로 추진할 다채로운 사업들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도시 사업들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근본적인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025 문화도시 박람회를 통해 드러난 각 지역의 노력과 성과를 바탕으로, 문화도시 사업이 지역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