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청년들이 정책을 자신과 무관한 영역으로 인식하며 수동적인 수혜자에 머무르곤 한다. 장학금, 취업 지원, 문화 혜택 등 ‘받는 것’에 국한된 정책 경험은 이를 더욱 심화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정책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직접 제도를 만들어갈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리고 있다.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에서 운영하는 ‘청년인재DB’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청년을 ‘정책 생산자’로 전환시키는 혁신적인 플랫폼이다.
기존의 정책 시스템은 청년을 단순히 정책의 대상이나 수혜자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청년인재DB’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청년 개개인의 경험과 목소리를 정책 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통로를 제공한다. 이 누리집은 단순히 정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개인의 이력과 관심사를 등록하면 정책위원회, 자문단, 기자단 등 다양한 정책 활동 기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은 자신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와 개선 요구를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더 나은 제도를 만들어가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청년인재DB’의 가장 큰 장점은 청년들이 능동적으로 정책 참여 기회를 탐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등록된 프로필을 통해 관련 담당자로부터 먼저 참여 제안을 받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정책과 청년을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강력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원문 작성자는 이 플랫폼을 통해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원회 위촉직 청년위원에 지원하는 구체적인 경험을 공유하며, 이러한 지원 과정 자체가 청년들이 정책 과정의 한 축이 될 수 있다는 현실감을 부여함을 강조한다. 이는 단순한 명예직이 아닌,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다양한 정책 의제에 대한 논의와 자문을 맡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자리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이러한 ‘청년인재DB’의 활용은 청년들이 더 이상 정책의 수동적인 수혜자로 머물 필요가 없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프로필을 등록하고 자신의 관심사를 드러내며 정책에 목소리를 보탬으로써, 청년들은 제도 개선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는 곧 청년 스스로가 사회 변화를 만드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취업, 주거, 교육, 문화생활 등 청년의 삶과 가장 밀접한 제도들이 정책에서 비롯되는 만큼, 청년이 직접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고 제도를 감시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청년인재DB’는 이러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관문으로서, 앞으로 더 많은 청년들이 이 제도를 알고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정책을 ‘받는 것’에만 머물지 않고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 참여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기를 기대하게 한다. 이러한 참여 증가는 정책을 더욱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게 발전시킬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청년들이 서 있는 자리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목소리를 내며, 직접 참여하는 순간 정책은 살아 움직이게 될 것이다. ‘청년인재DB’는 바로 그 출발선이며, 이제 더 많은 청년들이 그 문을 두드려 함께 사회를 바꿔나가는 주체로 자리 잡기를 바라는 전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