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0월 단풍철이 다가오면서 연중 가장 많은 등산사고가 발생하는 가운데, 실족 및 조난 사고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3년간(2021~2023년) 집계된 등산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10월에는 무려 3445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137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다른 월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로, 아름다운 단풍을 즐기기 위해 산을 찾는 인구가 급증하는 시기에 사고 위험이 최고조에 달함을 보여준다.
사고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 등산로에서 발을 헛디뎌 발생하는 ‘실족’ 사고가 8188건(32%)으로 가장 많았으며, 길을 잃어 발생하는 ‘조난’ 사고가 6871건(26%)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기존에 앓고 있던 지병 등으로 인한 ‘신체질환’ 사고도 4645건(18%)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처럼 10월 단풍철은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시기임과 동시에, 방심하거나 준비가 부족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가을 단풍철을 맞아 산행 시 실족이나 조난 등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는 메시지를 발표했다. 안전한 산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산행을 떠나기 전, 예상 소요 시간, 대피소 위치,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날씨 정보 등 전반적인 산행 계획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더불어 자신의 체력 수준과 경험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산행 중 몸에 무리가 느껴진다면 망설임 없이 즉시 하산해야 한다.
특히 평소 산행 경험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체력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하며, 출입이 통제된 위험하거나 금지된 구역에는 절대 발을 들여서는 안 된다. 또한, 정해진 등산로를 벗어나 샛길로 이탈하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하며, 가능하면 혼자보다는 일행과 함께 산행하는 것이 사고 발생 시 큰 도움이 된다. 만약 길을 잃었을 경우, 당황하지 않고 왔던 길을 따라 아는 지점까지 되돌아가는 것이 우선이다. 구조를 요청해야 할 상황이라면, 등산로 곳곳에 설치된 산악위치표지판이나 국가지점번호 등을 활용하여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알리는 것이 신속한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산에서는 낮의 길이가 짧아 해가 일찍 지므로 조난 등의 사고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아침 일찍 산행을 시작하여 해가 지기 1~2시간 전에는 산행을 마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정안전부 황기연 예방정책국장은 “10월 단풍철에는 평소 산을 찾지 않던 사람들도 단풍을 즐기기 위해 산에 오르는 경우가 많아 사고 예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가까운 산에 가더라도 미리 주변에 행선지를 알리고,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안전하게 가을 단풍을 즐기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철저한 준비와 안전 수칙 준수를 통해 아름다운 가을 산행의 추억을 안전하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