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이는 지난 7월 발표보다 0.1%p 상향된 수치다. 특히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대폭 개선된 1.8%로 전망하며, 이는 한국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전망은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가 직면한 내부적인 어려움에 대한 시사점을 던진다.
IMF는 지난 10월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예측을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경제 성장률은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하여 올해 3.2%로 기존 전망보다 0.2%p 상향 조정되었으며, 내년은 3.1%로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글로벌 경기 흐름 속에서 한국 경제 성장률이 0.9%로 소폭 상향 조정된 것은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IMF가 한국 경제의 내년 성장률을 1.8%로 예측하며, 이는 단순히 경기 회복을 넘어 잠재 성장 수준으로의 복귀를 시사한다는 점이다. 이는 앞으로 한국 경제가 정상적인 성장 궤도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한다.
한편, IMF는 전 세계 물가상승률이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반면,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국제적 맥락 속에서 한국 경제의 향후 성장 경로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