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K-문화’의 강력한 원천이자 세계인이 배우고 싶어 하는 언어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여전히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더 많은 세계인에게 다가가도록 하는 데에는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강조했듯이, 현재 87개국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글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지만, 이는 동시에 한글과 한국 문화를 더 효과적으로 알리고 확산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한글을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나섰다. 김 총리는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위해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한글을 더 올바르고 쉽게 사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내국인 스스로 한국어의 가치를 재인식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 개발, 전시, 홍보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한글이 가진 고유한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상품화하여 자연스럽게 세계에 노출시키고, K-팝,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의 언어적 기반으로서 한글의 역할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에 발맞춰 한국어 기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은, 미래 기술 환경에서도 한글이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한글은 단순한 문자를 넘어 세계 문화 교류의 핵심적인 매개체로서 더욱 확고한 입지를 다질 것으로 전망된다. 훈민정음 머리글에 담긴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이 오늘날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통해 인류애로 확장되고, 일제 강점기에도 굴하지 않고 한글을 지켜낸 선조들의 숭고한 노력이 민족 정신의 버팀목이 되었듯이, 정부의 이번 발표는 한글의 과거와 현재를 잇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특히, ‘초격차 K-APEC’을 목표로 한 이번 APEC 준비 과정에서도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노력이 병행된다는 점은, 한글이 가진 잠재력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의지가 결합될 때 K-문화의 세계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음을 기대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