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되는 가운데, 대통령실이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직접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발걸음을 내딛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국민 패널 110여 명과 함께 ‘디지털 토크 라이브-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를 개최하며 민생·경제 현장의 생생한 어려움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행사는 ‘국민사서함’에 접수된 다양한 정책 제안 중에서도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겪고 있는 민생·경제 분야의 어려움에 초점을 맞췄다. 총 3만 8741건의 제안 중 1만 7062건(44%)이 이 분야에 집중될 정도로, 국민들의 고충이 얼마나 큰지를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는 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 고물가로 인한 생계비 부담 완화,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 영세 자영업자 운영자금 지원, 그리고 지역화폐 활성화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핵심 민생 과제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들이 ‘국민사서함’에 보내준 소중한 의견들이 토론의 출발점임을 강조하며, 고금리와 고물가로 고통받는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있음을 밝혔다. 대통령은 ‘국민주권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삶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현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자신의 변함없는 신념을 재확인했다. 또한, 이날 나눈 생생한 이야기들을 정책으로 다듬어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부의 역할은 국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것이기에, 현실적인 대안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감 없이 제시해 달라고 당부하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이번 행사는 ‘1부: 현장의 목소리’와 ‘2부: 대통령의 약속, 국민과의 대화’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유튜브 이재명TV, KTV 국민방송, 참여 크리에이터 채널 등을 통해 생중계되어 국민 누구나 실시간으로 토론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고물가, 고금리라는 경제적 난관 속에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의 삶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