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심화되는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해 국민들의 생계 부담이 가중되고 경제 현장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국민 패널 110여 명과 함께 ‘디지털 토크 라이브-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 행사를 개최하며 국민들이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직접 청취하고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행사의 근본적인 배경에는 국민들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자리 잡고 있다. ‘국민사서함’에 접수된 3만 8741건의 정책 제안 중 무려 1만 7062건(44%)이 경제·민생 분야에 집중된 것만 보아도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소상공인의 금융 지원 확대, 고물가로 인한 생계비 부담 완화,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 영세 자영업자 운영자금 지원, 지역화폐 활성화 등은 국민들의 높은 관심사를 반영하는 핵심 민생 과제였다. 이는 단순히 현장의 어려움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겪고 있는 경제적 고통의 무게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에 대통령은 ‘국민사서함’을 통해 전달된 국민들의 소중한 의견을 토론의 출발점으로 삼고, 고금리와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보내는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있음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국민주권정부의 정책이 국민의 삶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현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자신의 변함없는 신념을 강조했다. 또한, 이날 토론에서 나온 생생한 말씀들을 정책으로 다듬어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정부의 역할이 국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데 있음을 명확히 하며, 현실적인 대안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감 없이 제시해 달라는 당부로 이어졌다.
이러한 대통령의 의지는 ‘국민사서함’ 접수 제안을 기반으로 한 민생·경제 분야 토론, 그리고 ‘대통령의 약속, 국민과의 대화’라는 행사 구성으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유튜브 이재명TV, KTV 국민방송, 참여 크리에이터 채널 등을 통한 실시간 생중계는 국민 누구나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참여와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대통령실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앞으로 정부가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 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임을 시사하며, 국민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