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었던 연휴를 알차게 보내고자 하는 시민들의 바람과 달리, 문화 향유의 기회가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제약받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공연 및 전시 관람은 일정 수준 이상의 비용이 발생하여, 문화생활을 주기적으로 즐기기 어려운 이들이 많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어 왔다. 이러한 문화 향유의 장벽을 낮추고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힘을 모아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를 시작했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총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을 제공하며, 연말 성수기인 12월 31일까지 관람 예정인 공연 및 전시에 적용할 수 있다. 지난 1차 발행 시 6주라는 상대적으로 긴 사용 유효기간 설정으로 인해 발급 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 2차 할인권은 일주일의 사용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남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구체적으로는 9월 25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이때 발급받은 할인권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지만, 매주 새로운 할인권이 발급되므로 사용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이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주요 온라인 예매처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온라인 예매처별로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 할인권이 매주 1인당 2매씩 발급되며,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된다. 할인 혜택은 개별 상품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적용되므로, 할인권 금액보다 낮은 가격의 상품이라도 여러 장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하면 할인권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공연은 1만 5천 원, 전시는 5천 원 할인권이 매주 1인당 2매씩 발급되어 지역 간 문화 향유 격차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할인 적용 대상은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 순수 공연 예술 분야와 전국 국·공립, 사립 미술관 등 시각예술 분야 전시 및 아트페어, 비엔날레 등이다. 대중음악, 대중무용, 산업 박람회 등은 할인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러한 세심한 기준 설정은 문화 향유의 본질적인 목적을 살리고자 하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시민들이 문화생활을 더욱 쉽고 경제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긴 연휴를 맞아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할인 혜택과 함께 경험하며 마음의 양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된 것이다. 주기적으로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지만 비용 부담 때문에 망설였던 많은 시민들에게 이번 할인권은 문화 향유의 문턱을 낮추는 실질적인 솔루션이 될 수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국민들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