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한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상생페이백’을 시작했지만, 그 배경에는 가계 소비 부진으로 인한 어려움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평균 카드값보다 9월부터 11월까지 더 많이 소비한 국민들에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일정 금액을 환급해주는 방식인데, 이는 단순히 소비를 촉진하는 것을 넘어 침체된 내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정책적 의도가 담겨 있다.
이번 상생페이백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비가 늘어난 국민들에게 증가분의 20%까지,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총 30만 원 상당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환급해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혜택은 2024년도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환급된 금액은 지급일로부터 5년간 유효하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늘어난 소비에 대한 부담을 일부 덜고,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에서 상품권을 사용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은 매우 간편하다.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 신청하면 되며, 디지털온누리 앱 미가입자는 별도 설치 및 가입이 필요하다. 신청 기간은 9월 15일(월) 9:00부터 11월 30일(일) 24:00까지이며, 9월 20일(토)부터는 5부제 없이 모두 신청 가능하다. 다만, 소비액 산정에서 제외되는 사용처 목록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형마트 및 백화점, 온라인몰, 명품 전문 매장, 해외 사용 등은 카드 소비 금액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배달앱 등 일부 인정되지 않는 사용처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동네 상권 위주로 현장 결제를 하는 것이 환급 혜택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신청 후에는 1~2일 뒤 카카오톡을 통해 1년 카드 소비액과 한 달 치 소비액 정보가 제공되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소비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환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식료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품목을 구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달앱 ‘땡겨요’와 같은 소상공인 지원 플랫폼에서도 온누리상품권 결제가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다.
상생페이백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침체된 소비 심리가 회복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들은 늘어난 소비에 대한 부담을 덜고, 소상공인들은 매출 증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가 더욱 확대된다면 소비자 혜택은 물론, 지역 상권과의 상생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데 더욱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궁극적으로 상생페이백은 건강한 소비 문화를 조성하고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