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일을 맞은 친구에게 목걸이와 조각 케이크를 기프티콘으로 선물하며 모바일 선물가게 이용이 일상화되었음을 체감한다. 어떤 선물을 할지 고민될 때, 혹은 간편하게 선물을 전달하고 싶을 때 기프티콘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편리함 이면에는 기프티콘의 유효기간 만료라는 복병이 존재해 왔다. 선물 받은 기프티콘을 제때 사용하지 못하고 잊어버려 그대로 소멸되는 경우가 빈번했고, 이는 곧 소비자들의 금전적 손실로 이어졌다.
기존에는 유효기간이 만료된 기프티콘은 전액 환급이 불가능했다. 수수료를 제외한 최대 90%까지만 돌려받을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나머지 10%의 금액은 소비자의 손해로 남았다. 또한, 회원 탈퇴나 비회원 구매, 혹은 서비스 오류나 시스템 장애 등의 이유로 환급이 거부되는 경우도 있어 소비자 권리 보호에 대한 미흡함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상품권 환급 비율 표준 약관이 개정되어, 이제 기프티콘 및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환급 규정이 대폭 개선되었다.
개정된 약관에 따르면, 소비자는 포인트나 적립금으로 환급을 요청할 경우 유효기간이 남은 상품뿐만 아니라 이미 만료된 상품에 대해서도 100% 전액 환급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5만 원 이하의 상품권을 현금으로 환급받을 경우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90% 환급 비율이 유지된다. 또한, 구매 후 7일 이내에 청약 철회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수수료 없이 전액 환급이 가능하며, 서버 다운, 결제 오류, 시스템 장애 등 사업자 귀책 사유로 기프티콘 사용이 불가하게 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액 환급이 보장된다. 이는 기존에 사업자 귀책 사유로 인한 환급 불가 조항이 보완된 결과이다.
실제로 기프티콘 환급 절차는 간편하게 진행된다. 먼저 기프티콘, 모바일 상품권 등의 발급처를 확인한 후, 해당 상품권이 발급된 웹사이트나 앱에 접속해야 한다. 가맹점은 환급을 처리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발급처를 통해야 한다. 발급처에 접속하여 환급할 상품권을 선택하고, 환급 수단을 고른 후 신청하면 된다. 포인트로 환급받을 경우 즉시 처리가 가능하며, 계좌 환급이나 카드 취소 시에는 최소 하루에서 최대 일주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번 약관 개정으로 인해 그동안 쌓여만 가던 기프티콘이나 유효기간을 놓쳐 사용하지 못했던 모바일 상품권들을 수수료 걱정 없이 환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소비자는 앞으로 불이익이나 손해 없이 포인트로 환급받는 등 보다 공정한 소비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