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부터 중ᐧ고등학교에서 시행되는 수행평가 제도 개편으로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기존의 암기식, 과제 중심 수행평가가 수업 시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정 중심 평가로 전환되면서, 학생들이 보다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수행평가 제도 개편의 배경에는 학생들이 수행평가 준비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자리하고 있다. 학원 등 사교육의 도움을 받아 과제를 미리 준비하거나, 시험 직전 단기간 암기에 의존하는 방식은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를 퇴색시키고 학생들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안겨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교육부는 2025년 2학기부터 중ᐧ고등학교 수행평가를 수업 시간 내에서만 실시하도록 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는 단순히 평가 방식을 바꾸는 것을 넘어, 평가의 초점을 암기 결과에서 학습 과정으로 옮기는 중요한 변화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교육청은 학교별 자체 점검표를 활용하여 평가 계획을 개선하고, 매 학기 시작 전에 학교의 평가 계획을 점검할 예정이다. 특히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및 암기형 수행평가가 운영되지 않도록 관리 감독을 강화한다. 이에 따라 국어 교과에서는 조별 토론이나 수업 시간 내 자유로운 발상 및 논리적 글쓰기 활동이 확대된다. 수학 교과 또한 단순한 답 도출이 아닌, 문제 해결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포트폴리오 형태로 정리하는 평가 방식이 도입된다. 이는 학생들이 문제 풀이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과정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키는 경험을 쌓도록 돕는다.
이번 제도 변화는 학생들의 학습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멘토링에 참여한 한 고등학생은 2학기에 접어들면서 단기간 밤샘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평상시 수업에 집중하고 수업 시간 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몸에 배면서, 오히려 집에서 급하게 몰아 공부하는 일이 줄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주요 교과뿐만 아니라 사회, 과학, 미술 등 다양한 교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는 학생의 성장 과정과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데 있다. 2학기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수행평가 제도를 통해 학생들이 암기식 학습의 부담에서 벗어나, 학습 과정 자체를 즐기고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경험을 쌓아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