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기간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한 비상근무체계가 운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119 상담 건수는 평시 대비 73.8%나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명절 기간 동안 국민들이 겪는 다양한 건강 및 응급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킨다.
소방청에 따르면, 추석 연휴 동안 총 5만 6151건의 119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일평균 8022건으로 평시(4616건)보다 73.8% 증가한 수치다. 특히 추석 당일인 6일에 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뒤이어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담량 증가는 명절 기간 동안 갑작스러운 질병 발생이나 응급 상황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과 의료 서비스 접근의 어려움을 시사한다.
이러한 국민들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는 연휴 기간 동안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 상담 인력을 204명(60.4%) 보강하고, 수보대(상담 전화를 받는 자리)를 하루 평균 29대(34.5%) 증설하여 운영했다. 또한,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 역할을 수행했다. 질병 상담 및 응급처치 지도 등을 통해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환자에게는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대처 방법을 안내하는 등 맞춤형 정보 제공에도 힘썼다.
특히,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중증환자 발생 시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응급환자의 소생에 큰 기여를 했다. 구체적인 사례로 경북에서는 진료 병원을 찾지 못한 소아 환자들을 서울·경기 지역의 진료 가능한 병원을 선정해 소방헬기로 긴급 이송했으며,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 이송 및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다.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 의심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 골든타임 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소방청은 향후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나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직접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은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평가 및 응급처치 후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체계로 개선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이송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했다”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