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이 ‘창극 중심의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한국 창극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고 다채로운 문화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9월 3일부터 28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되는 이 축제는 올해 제1회를 맞아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이라는 주제 아래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9개 작품을 선보인다. 이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을 조망하고, 아시아 지역의 풍성한 문화적 유산을 공유하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창극은 1900년대 초 판소리를 바탕으로 여러 배우가 배역을 나누어 연행하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으로, 1인극 또는 2인극 형식인 판소리와 달리 다인극 형태의 공연이 특징이다. 이번 축제는 국립창극단을 주축으로 해외 초청작 3편, 국내 초청작 2편, 국립극장 제작 공연 4편을 포함하여 총 23회의 공연을 진행한다. 특히 개막작으로는 국립극장 제작 공연인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라, 고전소설 <심청전>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며 관객들의 호평을 받았다. 이 작품은 효녀 심청을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그려내며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선보였다.
축제는 해외 초청작과 국내 초청작을 통해 아시아 음악극의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홍콩에서 온 월극 <죽림애전기>는 중국 월극에 현대적인 감각을 더하여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그려냈으며,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이 작품을 통해 가정과 국가, 역사 문화적 요소를 현대 기술과 결합한 새로운 경험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이 평가하며, 창극, 월극, 노극 등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가 문화 교류의 풍성한 장이 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한국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이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외국인으로서 한국 문화 접근에 대한 장벽이 없음을 강조했다.
국내 초청작으로는 조선 말 여성으로서 자신의 이름을 지키며 살아간 정수정의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로 풀어낸 <정수정전>이 무대에 올랐다. 이 작품은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조선 시대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을 그려내며,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을 보는 등 당당하게 세상에 맞서는 정수정의 모습을 통해 여성의 홀로서기를 조명했다. 공연 관계자는 민간단체인 타루가 국립극장 무대에서 공연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한 기쁨과 함께, 앞으로 이러한 교류와 협업의 기회가 더 많아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번째 주제를 통해 동아시아 3개국의 전통 음악극의 과거, 현재, 미래를 탐구했던 국립극장의 ‘세계 음악극 축제’는 앞으로 더욱 확장될 예정이다. 내년에는 또 어떤 주제로 관객들을 만날지 기대되며, 국립극장 프로그램 외에도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 다양한 기관과의 연계 공연이 준비되어 있다. 향후 해외 작품 초청과 국공립 및 민간 작품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발돋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객들을 위한 ‘부루마블’ 이벤트 등 즐길 거리 또한 마련되어 축제의 재미를 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