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표준화 논의의 핵심 축에서 한국의 입지가 더욱 강화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르완다 키갈리에서 개최된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기술이사회(TMB, Technical Management Board)에 연임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한국이 지난 임기 동안 국제 표준화 분야에서 보여준 역량을 국제사회로부터 다시 한번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이번 연임을 통해 우리나라는 2028년까지 기술이사국으로서 ISO의 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연임은 한국이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겪고 있던 잠재적인 영향력 약화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성과이다. 기술이사회(TMB)는 ISO의 신규 표준위원회 설립 및 해산, 기존 표준위원회 간의 업무 조율, 의장국 임명 등 ISO의 전반적인 표준 활동을 실질적으로 조율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구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이러한 핵심 기구에서 한국이 연임에 성공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의 기술 및 산업 발전 방향에 부합하는 국제 표준 제정 논의에 더욱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번 총회에서는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의 새로운 표준위원회 설립을 제안하는 등 한국의 기술 리더십을 보여주는 노력도 이어졌다. ISO 회원국의 지지를 얻기 위한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주관하며, 한국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의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또한,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국의 표준화 기관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으며, 오는 12월 개최 예정인 ‘국제 AI 표준 서밋’에 주요 인사들의 참여를 요청하는 등 국제 협력의 폭을 넓히고 있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 ISO 기술이사국 연임을 계기로 국제표준화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이 국제 표준화 분야에서 단순한 참여자를 넘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더욱 확고히 다져나갈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한국의 첨단 기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관련 산업의 수출 확대 및 시장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