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후변화가 지구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의 생존을 위협하며 심각한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 정화, 꽃가루 매개, 먹이사슬의 핵심 고리로서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 또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기온 상승은 곤충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개체 수를 감소시키며, 이는 곧 생태계 전체의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곤충의 위기는 국립과천과학관에서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개최되는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조명된다. 이번 전시는 약 4억 년에 걸친 곤충의 역사를 소개하며, 이들이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해 왔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극심한 기후변화 앞에서는 곤충의 놀라운 적응력조차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전시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곤충 개체 수에 나타나는 명확한 변화를 8종의 생물지표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먹그림나비와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서식지를 북상하며 이동하고 있다. 반면, 큰그물강도래와 철서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한국 고유종인 곤충의 위기는 더욱 심각하다.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의 감소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며,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의 생존율이 급감하여 멸종 위기에 놓였다. 이들은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에서 완전히 사라지기 때문에 보존의 가치가 더욱 크다.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다. 온실가스는 지구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심각성을 인지한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여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번 전시는 곤충의 변화를 인류를 위한 경고로 해석하며, 관람객들이 지구를 위한 다짐을 작성하도록 유도한다. 나아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후 행동 방안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결국 곤충을 통해 드러나는 기후변화 위기는 생태계를 넘어 인간의 삶까지 위협할 수 있으며, 이는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번 전시는 10월 26일까지 국립과천과학관 곤충생태관에서 관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