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긴 연휴가 마치 방학처럼 느껴지는 시기, 문화생활을 통해 풍요로운 시간을 보내고자 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공연 및 전시 관람에 대한 높은 비용 부담은 이러한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약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9월 25일부터 2차 공연·전시 할인권 배포를 시작하며 문화 향유의 문턱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총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말 성수기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12월 31일까지 관람 예정인 공연 및 전시에 적용 가능하다. 1차 발행 당시 제기되었던 실사용률 저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차 배포에서는 사용 유효기간을 일주일로 단축하고, 남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발급 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을 낮추고 실제 문화생활로 이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구체적으로는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지만, 매주 목요일 새로운 할인권이 발행되므로 재발급을 통해 다시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주요 온라인 예매처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할인권의 경우,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 할인되며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된다. 결제 건당 1매의 할인권이 적용되며, 개별 상품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이 적용되므로 여러 장의 티켓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일 경우에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 관람객을 위한 혜택도 강화되었다.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은 공연 1만 5천 원, 전시 5천 원으로,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되어 지역 간 문화 향유 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모든 공연 및 전시가 할인 대상은 아니다. 공연 분야에서는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이 포함되나 대중음악과 대중무용은 제외된다. 전시 분야에서는 국·공립 및 사립 미술관 등 시각예술 분야 전시와 아트페어, 비엔날레가 적용 대상이며, 산업 박람회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지만 가격 부담으로 망설였던 많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매주 새롭게 발급되는 할인권을 통해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접할 기회가 확대되었으며, 이는 침체되었던 문화예술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흐린 날씨 속에서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문화생활을 계획하고 있다면, 공연 및 전시 할인권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풍성한 문화 경험을 만들어보는 것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