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라는 전 지구적 난제에 직면하면서,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노후 석탄발전기의 폐지를 본격화하고 나섰다. 특히, 이번 결정은 단순한 발전 설비 교체를 넘어, 탄소 배출 감축이라는 환경적 목표와 함께 노동자들의 일자리 상실 없이 안정적인 전환을 보장하겠다는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10일, 김성환 장관이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를 직접 방문하여 이러한 정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청정전력전환 정책의 실질적인 출발점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며, 태안석탄 1호기가 오는 12월 가동을 종료하는 것을 시작으로 한국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우게 된다.
정부는 석탄발전소 폐지에 따른 불가피한 인력 재배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했다. 태안석탄발전소에서 근무하는 총 129명의 발전 인력 중, 서부발전 본사 소속 65명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협력업체인 한전KPS, 금화PSC, 한전산업개발 소속 64명은 태안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각각 재배치될 예정이다. 이는 발전소 폐지로 인한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노동자들이 새로운 일터에서도 안정적으로 경제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정부는 최근 발생한 산업재해와 같은 비극적인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을 병행하고 있다. 지난 6월 2일 발생했던 고 김충현 씨의 산업재해 이후, 정부는 노동 현장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이에 대한 철저한 예방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민주노총과는 고용안정 협의체를, 한국노총과는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각각 구성하여 현장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사정 간의 긴밀한 협의를 지속해나가고 있다.
김성환 장관은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한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으로 일자리도 반드시 지킬 것이라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알리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산업재해를 철저히 예방하겠다”는 약속을 재차 확인하며, 이번 석탄발전기 폐지 및 전환 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목표 달성과 더불어 노동자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