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식탁과 생활 전반에 깊숙이 자리 잡은 농업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기후 변화, 식량 안보, 농촌 소멸 위기 등 산적한 과제 속에서 농업의 근본적인 가치와 미래 비전을 재조명하는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그 해답을 제시하고자 했다.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이번 박람회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우리 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며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박람회는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색깔 있는 농업’, ‘활기찬 농촌’이라는 네 가지 핵심 주제관을 통해 정책과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전달했다. ‘농업과 삶’ 주제관에서는 감자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과 교육 콘텐츠를 선보이며, 국민 생활과 밀접한 농산물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특히, 생소한 감자 품종부터 감자를 활용한 수제 맥주, 화장품까지, 감자의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며 ‘가장 평범한 농산물이 가장 특별한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또한, 공익 직불제와 꿀 등급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농업 정책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소비자가 안심하고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꿀 등급제는 국내산 천연 벌꿀의 신선도, 저장성 등 8가지 항목을 평가하여 등급을 판정하고 QR코드로 유통 관리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신뢰를 더했다. 우리 쌀의 우수성 역시 각 지역 품종별 특성을 살려 소개하며, 소비자가 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농업의 혁신’관은 첨단 기술이 농업과 만나 그려낼 미래상을 제시하며 이목을 집중시켰다. 인공지능(AI) 기반의 과일 선별 로봇은 사람이 17개의 불량 과일을 골라낼 때 43개를 선별하는 놀라운 효율성을 보여주며,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과 생산성 향상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특히, ‘품종 개발을 위한 과실 특성 조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관람객들은 배의 당도 측정 과정을 직접 경험하며,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농산물의 품질 관리 및 소비자의 알 권리 충족에 대한 중요성을 체감했다. ‘그린시스’라는 신품종 배의 당도를 측정하는 과정은 젊은 세대와 해외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은 품종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색깔 있는 농업’관에서는 K-푸드를 비롯한 도시 농업, 화훼 등 다채로운 농업의 모습을 보여주며 농업의 외연 확장을 제시했다. 캔에 담긴 홍어와 같은 기발한 아이디어들은 농업 분야의 창의적인 시도와 끊임없는 변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활기찬 농촌’관은 농촌 소멸 위기에 대한 대응책과 함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책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각 지자체는 귀농·귀촌 희망자들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으며, 특히 ‘농촌 빈집은행’ 정책은 전국 7만 8천 95곳에 달하는 농어촌 빈집을 재활용하여 귀농·귀촌 희망자와 연결하는 혁신적인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빈집 소유자와 희망자를 공적으로 연결하고 기관이 관리와 운영을 돕는 이 정책은, 노후화된 빈집 수리비 지원까지 포함하고 있어 성공적인 정착 시 농촌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박람회는 농업이 더 이상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기술, 문화, 사람을 아우르며 끊임없이 혁신하는 역동적인 분야임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친환경 농산물 마크의 중요성, 스마트 농업의 가능성,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산업화 등 다양한 시사점을 통해 대한민국 농업의 밝은 미래를 엿볼 수 있었다. 국민 모두의 농업에 대한 작은 관심들이 모여 K-농업의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되어줄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발걸음을 내디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