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확고해지고 있다. 특히 게임 분야는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핵심 동력으로 재인식되며,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적인 정책 전환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게임 산업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인식을 전환하고, 산업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체계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월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인 ‘펍지 성수’를 방문하여 ‘세계 3위의 게임강국으로 레벨업’이라는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는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 및 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대통령은 간담회 시작에 앞서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게임에 대한 깊은 관심을 드러냈다. ‘인조이’의 타인의 세계를 보는 기능이나 게임 내 아이템 구매를 위한 노동 시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은 게임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선 사회적, 경제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며,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으로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는 게임 산업을 단순한 소비 영역이 아닌, 미래 성장 동력이자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핵심으로 바라보겠다는 정책적 방향을 명확히 보여준다. 또한,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과 같은 게임 업계의 요구에 대해서는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 및 사업자의 요구와 더불어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 또한 중요함을 역설했다.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모든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도 게임 산업의 진흥 필요성을 강조했다. 엔씨소프트 김택진 대표는 AI 기술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시킬 기회가 생기고 있음을 언급하며 산업으로서의 게임 진흥 필요성을 역설했다. 넥슨 김정욱 대표는 게임이 전략 품목으로 지정되어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지원해야 하며, 이를 위한 인식 개선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인디게임 업체 원더포션 유승현 대표는 작은 규모라도 더 많은 팀에게 지원이 제공될 때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러한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의 특성, 문화콘텐츠 수출에서의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저작권 문제 등을 꼼꼼히 짚어가며 지원 확충 및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을 이어갔다.
이번 간담회는 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세계 3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게임에 대한 정책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산업 생태계 전반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된다면, 게임 산업은 미래 국가 경제를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