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도 질 높은 문화 예술을 누릴 기회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사업을 시작하며, 특히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본격화했다. 과거 1차 사업에서 유용성이 입증된 이번 할인쿠폰은, 1차 사업과는 달리 전국 단위 할인쿠폰과 더불어 비수도권 지역민 전용 할인권까지 제공하며 그 혜택의 폭을 넓혔다. 이는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향유 기회를 지역 곳곳으로 확산시키고, 지방 문화 예술 생태계를 활성화하려는 분명한 의지를 보여준다.
이번 2차 사업은 비수도권 지역민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전국 단위 할인권보다 높은 할인율을 적용하며, 공연은 1매당 15,000원, 전시는 1매당 5,000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러한 혜택은 11월 27일까지 유효하며,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쿠폰은 자동 소멸되므로 기간 내 활용이 중요하다. 특히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와 같은 주요 예매처를 통해 편리하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문화 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낮춰 지역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더욱 쉽게 공연과 전시를 접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활용한 문화 예술 경험은 이미 긍정적인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예를 들어, 대구 북구의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린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은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통해 더욱 많은 관람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 이 전시에서는 뱅크시의 대표적인 석판화 기법 작품들을 비롯해, 그의 사회 풍자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을 사진과 영상으로 생생하게 접할 수 있었다. 특히 경매 중 분쇄되어 큰 화제가 되었던 <풍선을 든 소녀> 작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당시 현장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영상은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또한, 뱅크시의 예술 세계뿐만 아니라 난민 수용소 건축에 자재를 기부했던 디즈멀랜드 프로젝트의 발자취까지 담아내며, 예술이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를 되새기게 했다. 이러한 전시들은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수도권 못지않은 기획력과 깊이를 가진 문화 콘텐츠가 충분히 개최될 수 있음을 증명하며, 할인쿠폰 사업의 실효성을 보여준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사업은 단순히 문화 소비를 촉진하는 것을 넘어,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 예술 거점을 활성화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자연스럽게 향유하며 소통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 문화 발전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이번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여, 전국 어디서나 문화의 향기가 가득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