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소상공인과 내수 시장 전반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된 ‘9월 동행축제’가 총 6634억 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하며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단순히 소비를 촉진하는 행사를 넘어, 내수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증진이라는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행사는 온·오프라인 판매전과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및 지역사랑상품권 판매를 통해 실질적인 내수 시장의 활력을 도모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동행축제 기간 동안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는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 판매 기록과 더불어 상당한 규모의 경제 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은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에서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는 등 높은 참여율을 보이며 6307억 원의 성과를 올렸다. 롯데온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도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동행축제 대표 상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행사와 정책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소비 회복에 기여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았던 만큼,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확대하여 지역 상권과의 접점을 넓히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전체 행사 144곳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지역이 24%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제주에서 열린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 또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제주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행사로 1만 8000명의 방문객을 맞이했으며, 이틀간 진행된 판매전에서는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하여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사가 참여해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 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는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와 7개 TV홈쇼핑사 및 7개 카드사의 적극적인 참여는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와 골목상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배달의민족 역시 제주 지역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의 회복을 지원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최원영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밝히며, 이러한 소비 진작 노력이 지속될 것임을 시사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동행축제와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을 통합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제공하여 실질적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