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비 심리 위축이라는 경제적 난제가 소상공인들에게 큰 어려움으로 다가서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동행축제’가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진을 견인하는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9월 동행축제’는 총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규모의 매출을 기록하며 소비 진작 효과를 톡톡히 보여주었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단순히 소비를 촉진하는 것을 넘어, 침체된 내수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기획된 전국 단위의 행사였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온라인 판매전과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각각 6307억 원과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을 올렸을 뿐만 아니라,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를 견인하며 내수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총 2만 700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6700만 원) 증가한 매출을,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6200만 원) 증가한 매출을 기록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주목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 또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았던 만큼,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높여 해당 지역의 행사 비중을 76%까지 확대했다. 특히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의 성과가 두드러졌다. 제주 개막식은 1만 8000명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고,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한 판매전에서는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은 50개 소상공인 사가 참여해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의 소비 촉진 이벤트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 이용을 유도했으며,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또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연계 할인 쿠폰과 더불어 집중호우 피해 지역 가게를 위한 할인 쿠폰도 추가로 제공하며 지역 상권 회복에 힘썼다.
최원영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개최 예정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적극적인 소비 진작 노력은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에게 희망을 제공하며, 소비 심리 위축이라는 난제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