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3분기(3Q25)에 전년 동기 대비 3% 성장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해당 분기 주요 제품 출시가 성장을 견인한 결과로, 강력한 교체 수요가 이러한 반등에 힘을 보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시장, 특히 AMOLED 부문에서는 하반기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연간 매출 감소가 예상되어 상반된 전망을 내놓고 있다.
Omdia의 최신 ‘디스플레이 장기 수요 예측 트래커(Display Long-Term Demand Forecast Tracker)’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연간 글로벌 AMOLED 디스플레이 매출은 53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4년의 540억 달러에 비해 소폭 감소한 수치다. 이러한 매출 정체는 연초 치열했던 패널 가격 경쟁으로 인해 상반기가 어려움을 겪었으나, 신규 스마트폰 모델 출시와 모바일 PC 패널 성장에 힘입어 하반기에 회복세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아쉬운 결과로 평가된다.
특히, 3분기와 4분기(4Q25)의 AMOLED 매출은 각각 전 분기 대비 19%, 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분기별 매출 성장은 LTPO 백플레인 기반 플렉서블 AMOLED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와 LTPS 백플레인 기반 모바일 PC 디스플레이의 출하량 증가에 크게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2025년 하반기 AMOLED 출하량은 3분기에 전 분기 대비 10%, 4분기에 7%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하반기 성장 동력은 주로 플렉서블 LTPO 백플레인 스마트폰 OLED 생산 확대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새로운 iPhone 17 시리즈의 OLED 디스플레이와 오포(Oppo), 비보(Vivo) 등 중국 브랜드의 신규 모델 출시가 이러한 생산 확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 시장의 회복세와 더불어 AMOLED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러한 하반기 회복세가 연간 전체 매출 감소라는 거시적인 흐름을 반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