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을 앞둔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특별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우리말 사용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 변화와 함께,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으로 인해 우리말이 설 자리를 잃어가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한글날은 언제나 기대되는 기념일이지만, 동시에 우리말을 제대로 알고 사용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현실은 안타까움을 자아내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우리말 가꿈이’는 한글날을 단순히 기념하는 것을 넘어,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올바른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 이번 행사는 잔디밭 위에 설치된 부스들을 통해 방문객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시도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그리고 사진 체험관 등 우리말을 더욱 친근하게 느끼고 제대로 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는 참여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우리나라 지도 위에 자신이 알고 있는 사투리나 고향 사투리를 적어 넣으며 지역별 사투리의 다채로움을 실감했다. 겉절이를 ‘재래기’라고 부르는 지역의 사투리를 적는 참여자도 있었으며, 대전에도 고유한 사투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는 등 예상치 못한 발견의 즐거움을 선사했다. 이는 우리말이 단순한 표준어뿐만 아니라 지역의 정서와 문화를 담고 있는 소중한 자산임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순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처럼 엽서를 꾸미며, 우리말 단어 하나하나에 담긴 깊은 뜻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을 통해 우리말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혔다. 몇 번의 시도에도 정답을 맞힐 때까지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은 아이들도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한 점이 돋보였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근본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글에서 ‘한’의 뜻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많은 참가자들이 1번(크고 으뜸 되는)이라는 정답을 맞히며,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한글의 깊은 뜻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바꾸는 등의 퀴즈를 통해 일상 속에서 무심코 사용하는 외래어의 빈도를 자각하고 ‘누리소통망’, ‘언급’과 같은 우리말로 대체하는 연습을 했다. 이는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외래어 남용을 줄이려는 적극적인 실천 의지를 다지는 중요한 과정이었다.
모든 부스를 성공적으로 참여한 방문객들에게는 기념품이 제공되었다. 총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을 수 있었으며, 일부 부스에서는 휴대용 물티슈, 치약칫솔 세트 등 실용적인 기념품도 증정되었다. 행사에 참여한 방문객들은 단순한 기념품 증정을 넘어, 우리말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즐거운 추억을 가지고 돌아갔다.
이번 ‘우리말 가꿈이’의 기념행사는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우리말 보존과 확산에 앞장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올림픽공원이라는 접근성 좋은 장소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다양한 연령대의 참여를 유도했으며, 행사 참여 후 공원을 가볍게 둘러볼 수 있는 여건까지 마련하여 방문객들에게 더욱 풍성한 경험을 선사했다.
특히, 20대 젊은 세대가 이처럼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은 작가로서 깊은 위로와 희망을 안겨준다. 앞으로도 ‘우리말 가꿈이’와 같은 젊은 주체들의 노력을 통해 우리말이 더욱 풍성하게 사용되고, 올바른 언어 사용 문화가 사회 전반에 깊숙이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또한, 10월 한 달간 전국 22곳 국어문화원에서 열릴 다양한 한글날 기념행사에도 많은 관심과 참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