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특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이 올해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운영된다. 하지만 이러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이면에 존재하는 근본적인 문제는 무엇일까. 바로 귀중한 역사 유산이 단순히 보고 지나치는 대상에 머무르지 않고, 대중에게 더욱 깊이 있게 다가가고 그 가치를 체감하게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과 궁궐을 잇는 ‘왕릉팔경’이라는 독창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역사적 공간을 살아있는 체험의 장으로 만들고자 한다.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 프로그램은 8월 21일, 9월 25일, 10월 16일에 예약이 시작되며, 매회 오전 11시부터 네이버 예약을 통해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다. 회당 25명의 정원으로 운영되며,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약도 가능하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유적 답사를 넘어, 왕릉과 왕릉을 잇는 길 위에서 역사의 숨결을 따라가는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이번 하반기 프로그램은 기존 조선 왕실 중심의 탐방에서 벗어나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참가자들에게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릉 문화를 직접 비교하며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근대 전환기의 역사와 문화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선사한다.
기자가 직접 참여한 2025년 9월 초의 ‘순종황제 능행길’ 여정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매력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구리 동구릉의 9기 능침과 남양주 홍릉, 유릉을 잇는 이번 코스는 각 능에 얽힌 역사적 사실과 제향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할 기회를 제공했다. 동구릉에서는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부터 헌종의 경릉까지, 다양한 시대의 왕릉을 통해 조선 왕릉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표석의 기원과 전서체 사용의 배경에 대한 해설은 송시열과 같은 학자의 예제에 대한 엄격한 관점이 어떻게 왕릉 제도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순종황제 능행길’에서는 대한제국 황실의 역사와 제사 제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졌다.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을 통해 제사 횟수가 축소되고, 명절제와 기신제가 제도의 중심을 이루게 된 과정은 역사적 단절 없이 이어져 온 조선 왕릉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이는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건원릉 봉분의 억새 전통은 태조 이성계의 유언과 그를 따른 후손들의 효심이 600여 년간 이어져 온 이야기를 담고 있다. 왕릉의 구조와 석물의 배치, 그리고 표석에 새겨진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는 문구는 태조의 위상이 격상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다. 이처럼 왕릉은 단순한 무덤이 아닌, 왕조의 역사와 권위를 상징하는 복합적인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자각과 제사의 공간은 왕릉의 핵심 의례 공간으로서, 산 자와 죽은 자가 만나는 중요한 장소임을 보여준다. 추존왕의 능과 신도비, 표석의 의미 또한 왕릉 제도의 변화와 당시의 정치적 상황을 엿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익종대왕(효명세자)과 신정왕후의 합장릉인 수릉은 추존왕의 지위에 따른 독특한 배치 사례를 보여준다.
경릉의 삼연릉은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조선 왕릉의 유일한 합장 형식 사례로, 왕과 왕비의 위계 변화와 비석의 개각 흔적은 당시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반영한다. 홍릉과 유릉은 조선 왕릉의 전통적인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르며, 화려함 속에 주권을 잃은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 프로그램은 조선왕릉과 대한제국 황릉이 지닌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단순한 관람을 넘어 깊이 있는 이해와 감동을 선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미래 세대가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 것인가를 묻는 이 프로그램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서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역사를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임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