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를 맞아 고향에 머물 예정인 이들이라면 공연이나 전시 관람을 통해 더욱 풍성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가 열렸으나, 해당 혜택을 누리기 위한 과정에서 몇 가지 아쉬운 점이 드러나고 있다. 전국 단위로 제공되던 기존의 할인쿠폰 정책에서 나아가 이번 2차 할인쿠폰 배포에는 비수도권 지역민을 위한 전용 할인권이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지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 다소의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9월 25일(목)부터 배포를 시작한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은 1차 때의 긍정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이들의 기대를 모았다. 특히 이번에는 기존의 전국 단위 할인쿠폰과 더불어 비수도권 지역민을 위한 전용 할인권이 추가되어 지역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려는 취지가 엿보인다. 하지만 모든 예매처에서 해당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일부 지정된 예매처에서만 발급이 가능하다는 점은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번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공연 15,000원, 전시 5,000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각 유형별로 2매씩 제공된다. 이는 전국 할인권보다 더 큰 할인 폭을 자랑하지만, 1차와 달리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며 발급받은 후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는 제한적인 유효기간은 이용자들이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11월 27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할인 쿠폰은 미사용 시 자동 소멸되므로, 관심 있는 문화 소비자들이 적극적으로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비수도권 지역에서 열리는 전시를 예매한 한 시민은 네이버 예약을 통해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에 5,000원의 할인을 적용받아 정가보다 저렴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 사진전은 대구 북구의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렸으며, 뱅크시의 대표작과 함께 그의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다양한 작품들을 석판화 기법이나 사진으로 구성하여 선보였다. 특히 소더비 런던 경매에서 그림이 분쇄되었던 <풍선을 든 소녀> 작품에 대한 설명과 당시 경매 현장 영상 등은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는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향유 기회를 비수도권 지역으로 확산시키고, 지역 내 문화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뱅크시 사진전처럼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기획력이 돋보이는 알찬 전시가 개최되고 있음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지방 문화 콘텐츠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일상 속에서 예술을 이야기하고 나누는 문화가 확산되기를 기대해 본다. 그러나 쿠폰 사용처 및 유효기간에 대한 명확하고 적극적인 홍보가 병행된다면, 더 많은 시민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누리고 문화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